실제 세상에선 빛이 한 방향으로만 오는게 아니죠
예를 들어 태양빛을 보면 지구에 도착해 여기저기 반사되서
태양빛이 들어올 각도가 아닌곳도 밝게 보이는데
이걸 비슷하게 흉내내 주는 조명이 있어요
이걸 IBL(Image Based Lighting) 이라고하는데요
여기서 저는 Surface 표면질감 게시물에 사용했던 모델들이 있는 상태에서 시작할게요

UberEnvironment2 Base 를 더블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뷰포트에 구가 나타나요

왼편 라이트탭에 불러온 UberEnvironment2를 선택한후에

불러온 구에 붙여줄 이미지로 HDR KHPark를 더블클릭

그럼 이렇게 구에 이미지가 나와요

이 그림은 구 안에서 뷰포트 모습인데
이미지에 따라 다르지만 HDR KHPark 이미지의 경우 저 빛나는 태양을 빛의 방향으로 보면 되요
구를 회전 시켜주면 우버라이트의 빛의 방향이 바뀌죠

그리고 품질은 제일 좋은 Set Quality 4XHi 더블클릭 해주고

서페이스 설명할때 사용했던 위 모델을 렌더링 해보겠습니다.

그냥 렌더링할때보다 시간은 좀더 걸리지만 이렇게 출력됩니다
그런데 우측모델은 광빨을 준 모델인데 광이 안나오네요
이 우버라이트는 반사광이 표현되지 않는데
반사를 계산할수 있는 라이트인 Distant Light 를 하나 추가하고
우버라이트와 디스턴트 라이트의 새기를 적절하게 조절한후 렌더링 하면

이렇게 광빨을 살릴수가 있어요
이때 생기는 반사광은 디스턴트 라이트의 방향에 따라 결정되니 이것도 잘 조절해줘야 겠죠
너무너무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ReplyDelete